티스토리 뷰

728x90
반응형

1. 헤로쿠(heroku) 배포 2

  • 이전에 설정하던 clearDB는 개발에 사용하던 mysql 버전과 상이하기 때문에 mysql 8 버전을 지원하는 Jaws DB로 다시 설정해줘야 한다.
  • 우선 헤로쿠에서 깃을 연결하고, 이전에 했던 내용들을 push 해준다.
Heroku git:remote --app project-board-uno
git push heroku main
  • App > resouces에서 clear db를 삭제한다.
  • Jaws db의 free plan을 선택하고, setting에서 config를 확인하여 yaml 파일에서 cleardb를 jawsdb_url로 변경해 준다.
  • 변경 사항을 commit push & pull request를 한다.
  • 자동으로 배포가 진행되는 설정을 했기 때문에 자동 빌드가 되어 웹사이트에 접속할 수 있다.

 

2. 데모

  • 계획했던 것처럼 작동이 잘 되는지 확인해 보면서 혹시나 있을 필요한 수정 사항을 체크한다.
  • 변경할 사항이 없다면 헤로쿠까지 반영된 내용을 release 시킨다.
    • 그러기 위해서는 우선 tagging을 해주어야 한다.
    • 깃크라켄으로 이동하여 main 우클릭 > creates tag here > v.1.1로 태그를 생성한다.
    • Tags는 별도로 push를 해주어야 한다.
    • Tag 우클릭 > push tag to remote > push v.1.1 to origin
  • 해당 태그를 토대로 깃허브에서 release를 만든다.
    • Release > draft a new release로 새로운 release를 생성하고 제목과 내용을 작성한다.
    • Generate release notes를 클릭하면 변경사항들에 대한 노트를 자동으로 넣어준다.

 

3. 프로젝트 마무리

  • 모든 프로젝트 카드가 Done으로 이동된 후에 계속해서 업데이트를 하게 된다면 기존의 Done에 있는 내용들을 묶어 놓을 수 있다.
  • Archive all cards 기능을 활용하면 모든 카드들이 Archived Items로 이동되어 안 보이게 된다.

 


 

본 포스팅은 패스트캠퍼스 환급 챌린지 참여를 위해 작성하였습니다.

https://bit.ly/43z0P6S

 

 

#패스트캠퍼스 #포트폴리오 #직장인자기계발 #환급챌린지 #포트폴리오챌린지 #패스트캠퍼스후기 #초격차패키지 #오공완

728x90
반응형
댓글